입출력장치
1.입력장치
광학마크판독(OMR : otical mark reader) : ex)답안지
광학 문자 판독기(OCR : optical character reader) : ex) 지로용지
자기잉크 문자판독기(MICR : 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) : ex)수표
바코드 판독기(BCR, Bar Code Reader): ex)pos 시스템
스캐너(scanner)
디지타이저(Digitizer) : 도면 입력
키오스크(Kiosk)
키보드
2.출력장치
모니터
구분 | 음극선관(CRT) | 액정(LCD) | 플라즈마(PDP) |
장점 |
가격이 저렴하다 표시속도가 빠르다 |
화면 떨림이없다. 전자파 방출이 없다. 전력 소모가 적다. |
사진과 같은 고해상도 눈의 부담이 적다. 얇고 소형 제작이 가능 |
단점 |
눈의 피로가 크다. 전자파가 심하다. 전력소비가 많다. |
화면을 보는 각도에 따라 선명도의 차이가 있다. |
가격이 매우 고가 전력 소비가 크다. 열 방출이 많다. |
*표시장치 관련 용어
-픽셀(Pixel, 화소) : 모니터 화면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
-해상도(Resolution) 픽셀(Pixel)의 수가 많을 수록 선명하다.
-모니터의 크기 : 모니터의 화면 크기는 대각선의 길이를 센티미터(cm)단위로 표시한다.
-재생률(Refresh Rate) : 픽셀들이 밝게 빛나는 것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1초당 재충전 횟수
-점 간격(Dot Pitch) : 픽셀들 사이의 공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간격이 가까울수록 해상도가 높다.
3.프린터
-도트 매트릭스 프린터
-잉크젯프린터 : 잉크분사 , 물에 번진다.
-레이저 프린터 : 빛을 이용해서 프린트한다. 물에 번지지 않음
-감열식 프린터
-열전사
-CPS(Character per Second) : 초당 인쇄할 수 있는 문자 수
-LPM(Line per Minute) : 분당 인쇄할 수 있는 줄
-PPM(Page per Minute) : 분당 인쇄할 수 있는 페이지 수
-DPI(Dot per Inch) : 1인치에 몇 개의 점을 인쇄하여 문자를 구성하는지를 나타낸다.
4.인터럽트
*인터럽트 개념
: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에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, 현재 실행중인 작업을 잠시 중단하고 발생된 상황을 우선 처리한 후 실행중이던 작업으로 복귀하여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.
*인터럽트의 종류
1)하드웨어 인터럽트
- 기계검사(Machine check) : CPU, 메모리, I/O장치등의 기능적 오류동작이 발생한 경우
- 외부신호 인터럽트 : Timer, 키보드로 인터럽트 키를 누른 경우
- 입출력(Input, Output) : 입출력 장치가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거나 전송을 완료한 경우
2)소프트웨어 인터럽트
-프로그램 검사(Program check) : 잘못된 명령사용(나누기 0)
5. 채널
- CPU를 대신하여 입출력장치와 주기억 장치를 연결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.
- selector /multiplexer/block multiplexer 3가지 종류가 있다.
6. DMA
- 데이터의 입출력전송이 CPU를 거치지 않고 직접 주기억장치와 주변장치 사이에서 수행되는 방식이다.
CISC와 RISC 방식
CISC | RISC |
목적 : 처리향상 | 목적 : 응답시간향상 |
명령어의 수가 많다. | 명령어의 수가 주소지정 모드가 적다. |
주소지정 모드가 다양하다. | 레지스터 수가 비교적 많다(16~32개) |
레지스터 수가 적다(6~8개) | 고정길이 명령어형식이다. |
가변길이 명령어형식이다. | 모든 연산은 CPU의 레지스터 속에서 행해진다. |
메모리 내의 오퍼랜드를 조작하는 명령들이다. | 메모리 참조는 load와 store로 제한되어 있다. |
마이크로프로그램제어방식이다. | 하드와이어드 제어이다. |
상용 : Inter 80X86 chip | 상용 : DEA Alpha chip |
7. 하드디스크 연결방식
1) IDE(integrated drive electronics)
-하드 디스크 드라이브, CD-ROM등을 연결하는 40핀의 병령 인터페이스 규격이다.
-2개의 장치 연결 가능하며 최대 504MB의 용량 인식한다.
-Master/Slave 연결 방식
2)EIDE(Enhanced Integrated Drive Electronics)
-IDE를 확장하여 전송속도를 높인 규격이다.
-4개의 장치를 연결 가능하며 최대 8.4GB의 용량인식
3)SCSI(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)
- 각 장치에 고유한 ID 부여하여 7개의 장치 연결 가능하다.
8. RAID
RAID(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)
RAID는 하드디스크를 관리하는 기술이다.
'컴퓨터활용능력(컴활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컴활1급필기_컴퓨터일반<7>윈도우 (0) | 2019.12.27 |
---|---|
컴활1급필기_컴퓨터일반<6>소프트웨어 (0) | 2019.12.26 |
컴활1급필기_컴퓨터일반<4>중앙처리장치,기억장치 (0) | 2019.12.23 |
컴활1급필기_컴퓨터일반<3>데이터의 표현 (0) | 2019.12.22 |
컴활1급필기_컴퓨터일반<2>컴퓨터의 구성 (0) | 2019.12.21 |